본문 바로가기
건강 저널

속방귀 건강에 해롭다?


방귀를 뀌고 싶은데, 여건이 마땅치 않을때?


어쩔 수 없이 안감힘을 쓰며 가스를 내뿜지 않으려고 노력하는데, 이때 속에서 꾸르륵 하며 속방귀를 뀔 수 있다.


상황이 상황인지라 어쩔 수 없이 하게 되는 속방귀!! 하지만 건강에는 결코 이롭지 않다.



속방귀가 건강에 해로운 이유 [1] 악취 유발


속방귀는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기 때문에 겉으로 나는 냄새는 거의 없다.


하지만 배출되지 못한 가스는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방면으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중 하나가 몸에서 악취를 풍길 수 있다는 점이다.



배출되지 못하고 체내로 방출된 속방귀는 자연스레 다시 항문을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일부 가스는 대장 점막의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으로 흡수되어 소변으로 배출되기도 하고, 몸전체로 옮겨가기도 한다.


가스가 폐 모세혈관까지 운반되면 호흡이나 트름을 통해 배출될수도 있으며, 이경우 입냄새 등 악취가 유발될 수 있다.




피부는 우리 몸에서 가장 넓은 독소 배출기관이자 외부 독소에 가장 먼저 노출되는 부위이다.


밖으로 배출되지 못한 가스는 피부로 배출될 수도 있는데, 이경우 몸에서 악취가 나는 것은 물론 피부병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시적으로 한두번 속방귀를 뀐다고 악취가 유발되는 것은 아니지만, 계속해 방귀를 참아 속에서 가스가 배출되는 일이 많고 몸에서 악취가 난다면 속방귀 때문은 아닌지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속방귀가 건강에 해로운 이유 [2] 염증성 대장질환


항문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한 가스는 대장과 소장에 축적된다.


이경우 배가 일시적으로 부풀어 오를 뿐만 아니라 아랫배에 압박감을 줄 수도 있다.


가스로 인해 췌장이나 담낭이 압박 받으면 복통을 일으킬 수도 있고, 장내 환경을 나쁘게 해 염증성 대장질환의 빌미가 되기도 한다.



대장질환은 크게 기능성 장질환과 염증성 장질환으로 구분된다.


염증성 장질환은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장이 만성적으로 염증과 궤양을 일으키는 질환인데,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 등이 있다.


궤양성대장염과 크론병은 모두 소화기에 지속적으로 염증이 생겨 발생하며, 복통과 설사, 혈변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속방귀가 건강에 해로운 이유 [3] 기능성 대장질환


기능성 대장질환은 과민성 장증후군과 변비가 대표적으로 꼽힌다.


속방귀는 장내에 있는 변을 제 때 내보내지 못한 상태에서 생성된 가스가 밖으로 배출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변이 장에 머무는 시간이 지체되기 마련인데, 이로 인해 기능성 대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변이 장 속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지면 부피가 작고 단단한 변이 만들어져 변비가 생기기 쉽기 때문이다.


때문에 변의를 느꼈다면 30분 안에 배변을 하는 것이 좋으며, 평소 식습관을 개선할 필요도 있다.


일주일에 배변 횟수가 3회 미만이면 변비를 의심해 볼 수 있으며, 배변 시 무리한 힘을 줘야 한다거나 대변이 딱딱하게 굳는 경우, 잔변감이 느껴지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장에 변이 오랫동안 머물면 대장이 독성물질과 접촉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져 대장 점막이 독성물질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때문에 변비는 일상생활을 불편하게 할 뿐 아니라, 심하게는 대장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실제 대장암 환자 7명 중 1명은 대장암 진단 전에 변비를 경험했으며, 대장암 수술 환자 1만7415명 중 23.5%가 변비 환자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