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애&결혼 저널

임신초기 속울렁 증상 심하다면?


임신초기 속이 울렁거리고 음식을 쳐다만 봐도 거부감을 일으키게 하는 입덧, 모두 겪을까?


아니다. 입덧은 임산부의 50~80%에게서 나타나는 흔한 증상이지만, 입덧 없이 지나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럼 입덧 참고 견뎌야만 할까?



[1] 입덧이 나타나는 이유


입덧은 보통 임신 5~6주차에 시작해 9~10주차에 가장 심한 경향을 보인다.


보통은 16~18주면 증상이 사라지거나 완화되지만, 개인별로 차이가 있어 기간이 더 오래가는 경우도 많다.


입덧 자체가 임산부나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입덧으로 인해 영양 섭취가 골고루 되지 않아 체중이 줄고 탈수를 일으킬 수도 있으며,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될 경우 임산부나 태아에게 결코 좋지는 않다.


입덧은 태반에서 분비되는 융모성선 호르몬과 연관이 깊은데, 입덧이 시작되고 호전되는 기간이 이 호르몬의 증가 및 감소 시기와 유사하기 때문이다.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되면 수정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융모에서 융모성선 호르몬이 분비된다.




호르몬의 분비가 왕성하면 입덧이 심해지고, 호르몬의 분비가 줄어들면 입덧도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이외에도 갑상선 호르몬 또는 아연 농도의 변화 등 다양한 신체변화가 입덧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스트레스나 피로누적, 임신을 하면 찾아올 수 있는 우울증 등 심리적인 영향도 입덧이 나타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2] 입덧 증상 완화방법


입덧은 개개인마다 증상도 다르고, 양상도 차이가 있다.


가볍게는 속이 매스껍거나 울렁거리고, 음식의 기호와 식욕이 변하는 정도이다.


하지만 입덧이 심할 경우 음식 섭취를 제대로 그 정도가 심각한데, 이 때문에 체력이 저하되고, 어지럼증과 탈수증상을 일으키기도 하며, 음식 냄새에 과민한 반응을 일으키기도 한다.



입덧은 공복일 때 증상이 심한 경향을 보이므로, 아침에 속이 울렁거리고 매스꺼운 느낌을 심하게 받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간단한 탄수화물과 물한컵 정도를 섭취해 주는게 도움이 되며, 적은양을 자주 먹는게 좋다.


단, 많은 양을 한번에 먹는 것은 좋지 않은데, 이경우 오히려 속을 더 울렁거리게 하고 구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입덧이 심해지는 시기엔 영양 공급도 중요하지만, 탈수 증상이 일어나지 않게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단, 너무 많은 물을 과하게 먹을 경우 위장 기능이 약화될 수 있어 물 대신 얼음 등을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입안이 마르는 등 탈수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을 내원 수액을 맞는 것도 좋다.



냄새에 대한 거부감이 심해 음식을 가까이 하지 못할 때는 더운 음식보다 찬 음식을 먹는 것이 냄새가 적어 한결 먹기 편하다.


마른음식과 탄수화물 종류가 입덧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며, 신선한 과일과 채소, 새콤한 초무침 등 신선하고 상큼한 음식도 증상을 완화하는데 좋다.


단, 염분이 많은 음식은 임신중독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며, 특히 인스턴트식품이나 이미 조리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댓글